본문 바로가기
Coding/Linux

[ Linux ] Ping! 1주차 실습

by 이응이응잉 2025. 1. 26.

기본 문법

  • date: 현재 날짜와 시간 출력
  • clear: 현재 보이는 terminal 화면 지우기
  • man: 각종 명령의 사용법을 알려줌 → man date: date 사용법을 알려줌
  • passwd: 사용자 계정의 비밀번호 변경
  • exit, ctrl + d: 터미널종료, 로그아웃
  • shutdown: OS 종료

File과 Directory 관련 명령어

  • ls: 현재 위치한 디렉토리의 내용 출력(list), ls –l : 자세하게 출력, ls –a : 숨김파일까지 출력, ls –F : 파일의 종류 표시(* : 실행파일, / : 디렉토리, @ : 심볼릭 링크)
  • mv: 특정한 파일의 이름 변경하거나, 현재 디렉토리에서 다른 디렉토리로 파일을 이동시킬 때 사용 / mv [option] <원본 파일명> <변경 파일명> / mv [option] <다수의 원본 파일명들> <이동 dir>
  • pwd: 현재 디렉토리를 표시
  • cd: 현재 디렉토리를 변경 ( ~은 홈 디렉토리, .. 은 부모 디렉토리, .는 현재 디렉토리로 이동)
  • mkdir: 디렉토리 생성 / mkdir [option] <작성할 디렉토리 이름> (이미 존재하는 파일의 이름과 동일한 디렉토리는 생성 불가)
  • touch: 내용이 없는 빈 파일 만들기 / touch <생성할 파일1> <생성할 파일2> …
  • cat: 파일 내용의 연결과 파일 내용 출력, 여러 파일을 연결해 출력 가능 -> conCATenate(연결) / cat [option] <파일 이름>
  • cp: 파일이나 디렉토리 복사(copy) / cp [option] <경로 1> <경로 2> / cp –r : 디렉토리를 복사할 때 하위 디렉토리까지 모두 포함하여 복사
  • rm: 파일 삭제 (remove) / rm [option] <삭제할 파일1> <삭제할 파일2> / 디렉토리를 지우려면 옵션인 –r 을 지정해야 하며, 디렉토리 내의 파일까지 전부 지우므로 주의해야함, rm *.txt : 확장자가 .txt인 파일을 전부 지움
  • rmdir: 빈 디렉토리 삭제 / rmdir [option] <dir명> / rmdir–p temp1 : temp1 디렉토리를 삭제한후, temp1의 부모 디렉토리가 비었을 경우 부모 디렉토리도 자동으로 삭제

!!리눅스에서는 file이나 directory를 삭제했을 경우 복구 불가!!

 

File 다루기

  • ln: 하드 링크 만들기, 파일의 링크를 생성 / ln [option] <원본 파일명> <링크 파일명> / ln –s : 심볼릭 링크 파일 생성,  inode 번호가 다르게 부여됨
  •  

 

실습 내용

1. 상대경로를 사용하여 /usr/bin 디렉토리로 이동하고, 결과를 pwd 명령어로 확인

2. 절대경로를 사용하여 홈 디렉토리로 이동하고, ping 디렉토리를 생성 후 상대 경로를 사용하여 ping 디렉토리로 이동 후, pwd로 결과 확인

3. cat을 사용하여 tmp1 파일을 생성하고, tmp1에 저장된 내용을 출력 (내용은 자유)

4. tmp1 파일을 이용하여 sample이라는 이름의 심볼릭 링크 파일을 생성하고, cat 명령어로 sample 파일에 저장된 내용을  출력

5. “ls”, “ls –a”, “ls –l” 명령어를 각각 실행하고 차이점 과제란에 서술하기 -> 상단 기본 문법란에 기재 완료

6. ping 디렉토리에 test1 서브 디렉토리를 만들고, test1 디렉토리로 이동

7. tmp1 파일을 test1 서브 디렉토리 아래에 aaa라는 이름으로 바꾸어서 복사하고, ls 명령어를 사용하여 실행 결과 출력

8. ping 디렉토리에서 cp –r 명령어를사용하여 test1 디렉토리 전체를 새로운 서브 디렉토리인 test3으로 복사

 

 

+ 중간 코드에 ln을 In으로 잘못 입력하여 혼란이 있었음. 코드 재점검 후 문법을 잘못 외운 것임을 확인하고 수정하여 다시 적용하였다.

'Coding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 Linux ] Ping! 4주차 과제  (0) 2025.02.16
[ Linux ] Ping! 3주차 과제  (0) 2025.02.09
[ Linux ] Ping! 2주차 실습  (0) 2025.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