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6

[클라우드] AWS 부하분산 서비스: AWS ELB ✅ 부하분산( = 로드 밸런싱, load balancing)서버-클라이언트 환경에서 서버가 클라이언트 요청을 받아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하(연산 작업)에 대해 동일한 목적을 수행하는 다수의 서버에 분산 처리하는 기능이다. → 고가용성 및 내결함성이 향상되고  안정적이므로 클라우드에서 반드시 사용하는 기술!로드 밸런싱(load balancing) :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리소스 풀 전체에 네트워크 트래픽을 균등하게 배포하는 방법이다. (= 부하분산)로드 밸런서(load balancer): 부하분산을 수행하는 대상을 뜻한다.로드 밸런싱의 이점애플리케이션 가용성 서버 장애 등으로 인해 애플리케이션 가동 중지 시간이 늘면, 이 서버 문제를 로드 밸런서가 자동으로 감지하고 사용 가능한 서버로 리디렉션(이.. 2025. 4. 7.
System hacking: 시스템 해킹 키워드 정리 ✅ 몰랐던 관련 키워드 정리시스템 해킹(System Hacking): 컴퓨터 프로그램의 행위를 조작하여 공격자가 원하는 행동을 실행하도록 하는 공격 전반, 주로 프로그램 등의 취약점을 찾아내는 일을 시스템 해킹이라고 통칭한다.아키텍처(Architecture): 컴퓨터의 전체적 구조, 기능 등을 표현하는 말이다. 우리가 흔히 공부하는 컴퓨터 구조는 'Computer Architecture'라고 한다.x86-64:  x86 명령어 집합 아키텍처의 64비트 모임이다. (x86: 인텔(intel)이 개발한 CPU들과 명령어 집합들을 칭하는 말이다.취약점(vulnerability): 컴퓨터에서의 보안상의 약점으로, 공격자들에게 공격받기 쉬운 부분을 뜻한다.스택 버퍼 오버플로(Stack Buffer Overflow.. 2025. 4. 6.
[클라우드] AWS 네트워킹 서비스(Amazon VPC)와 AWS 네트워크의 물리적 인프라 구성 ✅ AWS 네트워킹 서비스AWS 글로벌 인프라에서 생성된 다양한 자원의 워크로드를 수행하는 네트워킹 서비스.AWS 네트워킹 서비스를 이용하여 최적의 안정성과 보안성, 성능을 보장받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대표적인 AWS 네트워킹 서비스들네트워크 기반엣지 네트워킹하이브리드 연결VPCTransit GatewayRoute 53Global AcceleratorDirect ConnectSite-to-Site VPN클라우드 환경에서 가상의 프라이빗 네트워크VPC와 온프레미스를 연결하는 단일 게이트웨이확장 가능한 관리형 DNS 서비스AWS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한 애플리케이션 가용성 및 성능 개선온프레미스 환경과 연결하는 AWS 전용 네트워크온프레미스 환경과 연결하는 암호화된 네트워크 ✅ Amazone VP.. 2025. 3. 25.
[클라우드] 네트워킹(Networking) 기초 개념 ✅ 네트워킹(Networking)네트워킹(Networking)은 IT 자원 간 연결하여 통신하는 환경을 의미한다.IT 서비스를 제공하려면 다양한 IT 자원이 통신할 수 있는 환경이 당연히 필요함 → 네트워킹은 필수! OSI 7 계층 모델(OSI 7 Layer Model)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개발한 통신 구조 분류 방식으로, 7개의 계층으로 네트워킹 요소를 분류하여 나타낸다.(추후 다른 글에서 더 자세히 다룰 예정이므로, 간단하게 write-up 하겠다.) 1계층: 물리 계층(Pysical Layer)네트워크 하드웨어 전송 기술을 이루는 계층으로, 물리적으로 연결된 매체가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연결하고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2계층: 데이터링크 계층(Data Link Layer)물리 계층.. 2025. 3. 24.
[클라우드] AWS 컴퓨팅 서비스에 대하여 01: Amazon EC2 ✅ 컴퓨팅어떤 것에 대해 계산하여 답을 구하고 추정하는 행위.컴퓨팅을 전문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특화된 장비로는 '서버(server)'가 대표적이다.? 서버 - 서버는 특수성과 전문성을 위해 일반적인 컴퓨터에 비해 높은 사양이 요구되는 고성능 컴퓨터 자원이다.  ✅ AWS 컴퓨팅 서비스 퍼블릭 클라우드 환경에서 자원을 제공받아 가상 서버를 구성해 쉽게 워크로드(workload)를 수행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컴퓨팅 자원에 대한 비용만 지불하면 가상 서버 자원을 쉽게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된다. → 컴퓨팅 자원에 대해 원하는 만큼 확장하거나 축소하여 유연하게 이용할 수 있는 개념으로 이해하기!AWS 컴퓨팅의 대표적인 서비스 EC2 ECS / EKS LambdaLightsail클라우드 환경에서가상 서버 제.. 2025. 3. 22.
[클라우드] 클라우드 기초 개념 ✅ 클라우드 개념인터넷상에 마련한 개인용 서버에 각종 문서, 사진, 음악 따위의 파일 및 정보를 저장하여 두는 시스템. → 클라우드(Cloud)란, 광대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할 수 있는 가상화된 서버와 서버에서 작동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는 IT 환경을 의미한다. 클라우드를 이용하면 필요한 컴퓨팅 자원을 인터넷으로 쉽게 이용할 수 있다.✅ 클라우드 환경의 장단점장점경제적이며 필요한 만큼 자원을 유연하게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클라우드 서비스는 필요에 따라 자원을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으므로, 기업이나 조직이 직접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보다 더욱 유연하고 빠르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 용량을 늘리거나 애플리케이션을 추가할 때 기존 인프라를 업그레이드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필요하지 .. 2025. 3. 10.